본문 바로가기
  • 늘 배우며 소소한 행복누리기

경계선3

해결사증상_향기나는인격만들기 #6 ▶ 경계선 설정에 실패했을 때 나타나는 또 하나의 증상, 해결사 증상 '너는 행동해라. 그 값은 내가 치르겠다.'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의 결과로부터 보호해주는 방패막 역할을 하는 것은 성경적이 아니다. 알코올 중독에 걸린 집안이 전형적인 예이다. 남편은 술을 취하도록 마신 결과 술 취한 사람들이 하는 행동을 당연히 한다. 그러나 '해결사' (대개는 아내)가 남편을 음주 결과로부터 보호해준다. 아내는 남편이 아프다고 회사에 전화하고, 이웃들에게는 상처 난 딸에 대하여 남편이 취중에 밀어서 다쳤다고 말하는 대신에 놀다가 넘어졌다고 말한다. 그 결과, 현실은 그를 바꾸거나 성장하도록 도와주지 못한다. 알코올 중독은 무책임한 생활습관이다. 따라서 충격을 방지해주는 사람이 없이는 계속될 수 없는 것이다. ▶.. 2020. 3. 18.
경계선 설정에 실패할 때_향기나는 인격만들기 #5 ▶ 어머니에게 싫다는 말을 못 하는 30살 샌디 "당신은 왜 그냥 어머니에게 추수감사절에 집에 가고 싶지 않다고 말하지 못하지요? 당신 나이쯤 되면 이젠 친구들과 함께 휴가를 지내고 싶다고 말할 수 있지 않은가요?"라고 내가 말하였다. "그렇지만 그러면 어머니는 굉장히 화를 내실 거예요. 그런 일은 절대로 할 수 없어요. 그건 아주 야비한 짓인걸요." 샌디는 자신보다는 어머니를 기쁘게 하기 위한 선택을 한 후 자신이 선택한 결과를 두고 어머니를 비난하며 미워하고 있었다. 샌디는 자신의 자유를 포기하는 선택을 한 것이다. 샌디는 자기가 선택한 것 때문에 생긴 감정에 대해서 책임질 필요가 있다. 샌디는 어디에서 자신의 책임이 끝나고 어디에서 그녀 어머니의 책임이 시작하는지를 알지 못하였다. 그녀는 어머니의 .. 2020. 3. 18.
경계선이란_향기나는 인격만들기 #4 ▶ 15년 전 열정적으로 하나님과 다른 사람을 섬기는 사역을 시작했던 스티브 이야기를 계속하면서 나는 스티븐이 사랑과 동정심이 많고 사람들과 아주 잘 지내는 사람임을 알게 되었다. 마음이 부드러워서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 결과로 그는 예산과 보고서 기한을 넘기거나, 모임에 늦거나 만날 약속을 잊어버리기도 하였다. 그는 마땅히 받아야 할 대가는 주지 않으면서 그에게 너무 많은 일만 맡기는 교회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기 시작하였다. 반대로 교회는 보고서는 늦게 내고, 모임은 엉망으로 만드는 것에 지쳐버렸다. 교회에서는 스티븐이 가진 좋은 자질들보다는 그의 무책임성이 문제로 부각되었던 것이다. 스티븐의 위태위태한 사역보다 더 큰 문제가 된 것은 그의 결혼 생활이었.. 2020. 3. 14.